목록전체 글 (691)
노란 자전거
내가 시를 쓰고 있는데 아내는베란다 화초에 물이나 주라고 하네 내가 시를 쓰고 있는데 아내는은행이나 다녀오라고 하네 내가 시를 쓰고 있는데 아내는슈퍼마켓에나 다녀오라고 하네 내가 시를 쓰고 있는데 아내는설거지나 도와 달라고 하네 내가 시를 쓰고 있는데 아내는화장실 청소나 하라고 하네 아니, 도대체 내가 지금시를 쓰고 있다는데! 월간 (2020년 10월호)

선생이 호는 송암이요 시조는 고려조의 개국공신인 태사 충헌공 포음 휘 정필이며 분관시조 결성 장씨 결성부원군 25대손으로, 부친 유강원 참봉 장석환공과 모친 부안임씨의 둘째아들로 1894년 음 1월 23일 충남 연기군 동면 송용리에서 태어나셨다.선생은 유족한 참봉집에서 부족함이 없이 윤택한 유소년 시절을 보냈으나, 17세 때인 1910년 8월 우리나라가 일본에게 국권을 강탈당하자 빼앗긴 나라를 다시 찾고 조국 광복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깊이 고민하셨으며 독립을 위해서는 교육에 힘써 많은 인재를 통해 민족의 역량을 하나로 모으고 굳건하게 키워나가는 길 뿐임을 늘 역설하셨다.선생은 유학의 전통이 깊은 명문의 후예지만 신학문에 뜻을 두고 30대 중반에 연기군 동면 송용리에 있는 육영재 또는 송동서숙서당에..

(앞면) 80장년 心地을 기르고/ 性天을 가꾸는/ 우리의 배움터/ 작은 제비둥지 燕東己未萬歲의 喊聲이/ 아직도 琤琤한/ 1925년/ 여기 작은 제비둥지/ 연동이 자리한다.이 작은 학당에/ 구름같이 모여드는 學徒들/ 80長年/ 그 긴 세월에/ 학술인도 예술가도 정치가도 실업인도 법조인도 군인도...모두 여기서 배우고/ 모두 여기서 자라고/ 모두 여기서 꿈을 불태웠다. 이 작은 제비둥지에서/ 이 땅의 名士들이/ 줄줄이 태어나연동동문 이란 이름아래/ 8000여 인재가/ 하나되는 운명, 그 攝理부귀도 영화도 예서 움텃고/ 영광도 공명도 예서 피어나/ 연동이란 모교의 깃발아래 우리의 운명이 열리고/ 黃龍이 승천했다는 龍池도/ 봉황이 坐定했다는 碧梧桐도이제는 전설 속에 아득하고/ 태백의 정기가 氣脈을 타고/ 계룡의..

세종시립민속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崇禎丙子日記>는 63세의 노부인이 병자호란이 일어난 1636년(병자, 인조14년)부터 4년여에 걸쳐 거의 매일 한글로 적은 일기라는 점에서 매우 신기하고, 여전히 세간의 관심을 끌고 있다. 란 조선 인조 때 좌의정을 지낸 춘성부원군 시북(市北) 남이웅(南以雄)의 부인인 정경부인(貞敬夫人) 남평 조씨(南平 曺氏) 조애중이 병자년(인조14년, 1636) 12월부터 경진년(인조18년, 1640) 8월까지 4년 가까운 기간 동안 한글로 기록한 필사본 일기이다. 이때 조애중은 63세부터 67세에 이르는 노년의 나이였다. 일기를 통해 병자호란의 와중에 겪은 피난 생활, 세자를 따라 심양으로 잡혀간 남편을 기다리며 가솔들을 이끌고 농사를 짓고 집안을 이끄는 대갓집 안주인으로..
부강 부자 김재식의 문집으로 송암집이 있다는 얘기를 듣고 키워드를 송암집으로 구글링을 해 보면 의외로 너무 많은 기사가 나온다. 과거 "송암"이라는 제호의 문집이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 조선 후기의 학자, 강필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이 있고, 조선 후기의 학자, 이재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58년에 간행한 시문집 이름도 송암집이다. 16세기 함안 출신의 유학자 박제현의 시문집도 송암집으로 검색되고, 권호문(權好文, 1532(중종 27) ~ 1587(선조 20)) 지은 문집도 송암집이다. 기정익(1627~1690)의 문집도 송암집이다. 1936년에 초간되고 1998년에 중간(重刊)된 공주 출신 문인 최종화의 문집도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부강의..

신도시 세종시에 살면서 구도심 조치원을 보면 참 이상하다. 조치원읍은 과거 연기군의 군청소재지이고, 전통적인 상업도시로서 유규한 역사를 지닌 곳이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일이지만, 살펴보면 보통 신안리 침산리 신흥리 번암리 서창리 봉산리 죽림리 등 3자로 된 리가 7개로 절반인데 비해, 남리 정리 명리 원리 상리 평리 교리 등 2자로 된 동네가 7개로 반반이라는 것이다. 필자는 지금까지 동리 이름이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 곳을 보는 것은 처음이라 호기심을 갖게 되었다. 지도를 살펴보면 이들 7개의 2자로 구성된 동네는 모두 경부선 철도와 조천 사이에 그려진 길쭉한 타원 안에 위치해 있다는 점과, 촘촘하게 구획된 도로를 보면 이곳이 조치원의 중심지라는 것, 그리고 도로가 사방으로 사각형을 그리면서 잘 ..

세종에 살면서 막상 관심이 가는 곳은 신도시 세종보다 오히려 조치원읍이나 부강면이다. 부강芙江은 한자 이름도 정감이 가는 연꽃 부芙이니 '연꽃 가람'이라고나 할까나. 새우젓 배와 소금 배가 드나들었다는 부강 포구와 경부선 부강역을 품고 있는 부강은 그 차제로도 얼마나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을까 생각하게 된다. 지금은 하천 정비 작업으로 높은 제방과 넓은 농지로 바뀌었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부강면 금강변에는 여름이면 비키니 수영복을 입고 선텐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수영장이 있었고, 부강온천은 유성 온천이나 온양 온천처럼 신혼부부가 택시 대절해서 신혼 여행 가던 곳이었다니 이 글을 쓰는 필자에게도 실감이 나지 않는 이야기이다. 우리의 근세사의 역사가 오롯이 담긴 부강에는 그 흔적도 많다. 한 때..

글쓰는 사람에게 마감이라는 말이 있다. 글을 제출할 날을 미리 받아놓고 거기에 맞춰 글을 쓰는 작가들에게 자주 사용되는 는 용어로 마감일이 가까워오는 조바심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곤 한다. 뭐 피가 마른다던지 조바심이 난다던지 하는 상투적인 말이 우선 생각나지만, 마감이 코앞으로 다가오는데 오는 안타까움이나 조바심은 글이 아직 완성이 안되었다는데서 오는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나도 모레까지 글을 제출해야 할 입장에 있다. 나는 뭐 작가랄 것은 없지만, 여하튼 글을 14일까지 제출해야 하는 입장에 있으나, 아직 글이 손에 잡히지 않으니 마음이 불안하고 어떻게 하나 하는 불편함이 나를 사로잡는다. 우선 나는 글감도 있고 소재도 있어서 글이 손에 잡히기만하면 후다닥 글을 써내려갈 수 있는 처지에..

세종 부강에 가면 만석꾼 부호 김재식의 고택이 있다. 고택 주변에는 홍판서댁, 조선 독립 운동에 헌신한 일본인 가네코 후미코 유허지와 근대 건축물인 부강성당도 있어 세종시의 근세사 연구에 큰 관심을 끌고 있다. 김재식(1860-1928)은 조선 고종 조부터 일제 강점기까지 격동의 세월을 지낸 분이다. 본래 경주 김씨로 청주 낭성 일대에서 집성촌을 이루다가 1910년 부강에 새 집을 짓고 이주하였다고 한다. 예나 지금이나 큰 부자에게는 관심이 가기 마련이다. 그는 얼마나 부자였을까? 큰 부자는 하늘이 낸다지 않았던가? 그는 그 폐쇄된 조선 말기 사회와 일제 강점기 와중에 어떻게 큰 부를 이룰 수 있었을까? 그는 부를 이용해서 어떤 활동을 했을까? 지금도 후손들은 그 부를 지키고 있을까? 보통 사람들이라면 ..

슈발베 마라톤 플러스 MTB 27.5*2.1 타이어를 1개 구입해서 뒷 바퀴에 장착했다. 전기자전거다. 누적 주행 거리가 2700 km인데 뒤 타이어의 돌기thread가 닳아서 교체하게 되었다. 보통 이 정도의 주행 거리로는 타이어가 교체할 거리가 아니라는데 아마 내 타이어는 성능에 촛점을 두고 내구성에는 약한 타이어를 장착했나보다. 이비 장착되어 있던 타이어는 "슈발베 레이싱 랄프" 27.5*2.1 폴딩비드이다. 레이싱 랄프는 지형에 대해서는 커버링이 넓지만, 목적 면에서는 경주나 스포츠/즐거움에는 적합하고 투어에는 약한 편이다. 산악 자전거로 경기를 즐기는데 감안이 되어 출시한 모양이다. 이번에 구입한 마라톤 플러스 MTB 타이어는 홍보 내용으로는 "최고의 펑크 방지력과 내구성으로 장거리 라이딩에..